이 마을에는 납이 많이 들어 있는 큰 바위가 있었고, 부근에는 같은 성분의 돌이 많이 있어 '납돌'이라 했는데 한자로 써서 '신석'이라고 한다.
장현 저수지가 생기기 전에는 큰 마을이 있었다. 이 마을에서 내곡, 노암으로 넘어가는 긴 고개가 있어 예사말로 '진재'라 했고 이를 한자로 써서 '장현'이라 한다.
원래는 모산, 학산과 같이 있다고 하여 3산이라 하다가 이곳의 물이 맑아 맑은물이란 뜻의 한자로 '담산'이라 한다.
조선이 건국된 후 고려의 유신들이 송도의 만월대의 고사를 생각하며 '박월'이란 지명을 만들어 썼다.
어머니 산이란 뜻의 모산봉 북동쪽에 있는 작은 산이 있어 어린 산이란 뜻의 옛말로 '어리미'라 했고, 그 동쪽에는 두꺼비 바위가 있어 '섬돌'이라는 마을이 있다. '어리미'를 한자로 써서 '유산'이라 한다.